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현재전시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
  • 전시명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

  • 전시장소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1

  • 전시기간

    2025-06-10~2025-08-31

  • 전시품

    <안견 필 사시팔경도> 등 690여 건

  • 전시요약

    조선 전기 15-16세기의 도자, 회화, 불교미술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대규모 특별전

  • 담당부서

    미술부  김영희  (1588-7890)

  • 공유하기

    페이스북 X

국립중앙박물관은 20256월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을 개최합니다.

1392년, 새 나라 조선이 시작되었습니다. 새로운 나라의 시작과 함께 미술에도 새로운 기운이 넘치기 시작했습니다. 조선 건국부터 16세기까지는 지난 시대의 물질적 기반 위에 유교 국가의 새로운 이상과 아름다움을 지향한 시기였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이전에 본 적 없는 미술이 만들어졌습니다.

중앙집권 체제가 확립은 전국의 도자 생산을 통제했고, 품질을 끌어올려 하얀 분청사기와 백자를 탄생시켰습니다. 새로운 정치세력인 사대부는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새로운 이상향을 추구하면서, 이를 검고 깊은 먹의 농담으로 그려낸 수묵산수화로 구현했습니다. 유교의 시대가 열렸지만 현실의 고통을 위로받을 수 있는 불교는 여전히 금빛으로 빛나는 미술을 남겼습니다.

조선이라는 새 나라의 시작과 함께 국가와 사대부, 백성이 만들어 낸 미술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 미술의 기반을 형성했고, 지금까지도 우리 곁에 생생히 남아 있습니다. 새 나라의 희망으로 가득찬 시대, 새로운 미술을 소개합니다. 


전시명 :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

기 간 : 2025. 6. 10.() ~ 2025. 8. 31.()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1

전시품: <안견 필 사시팔경도> 400여 점

관람시간 : , , , , 10:00 ~ 18:00 / , 10:00 ~ 21:00

휴관일 : 7.21.(), 8.4.() *전시품 교체로 인해 휴관합니다.   전시품 교체 일정 내려받기

 

전시실 안에서는 플래쉬, 조명, 삼각대 사용이 불가합니다. 일부 전시품은 사진 촬영 불가이오니 안내요원의 안내를 반드시 따라야 하며, 안내요원이 삭제를 요청할 경우 반드시 삭제해야 합니다. 언론사 취재 경우를 제외하고 동영상 촬영은 불가합니다.

 

 

관람시간


구분

관람 가능 시간

비고

, , , ,

10:0018:00까지

*입장 마감 17:20

발권 마감 17:20

관람 종료 18:00

,

10:0021:00까지

*입장 마감 20:20

발권 마감 20:20

관람 종료 21:00


전시장 내부 혼잡도에 따라 입장 대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차공간이 한정되어 있사오니 주말 및 공휴일에는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예매 (티켓링크 예매하기 및 네이버 예매하기

판매개시: 5.28.() 오전 10, 4주 간격으로 입장권 추가 판매

  - 5.28 () 오전 10: 2025.6.10.()-6.30.() 입장권 판매 시작 (30분 단위 회차별 판매)

  - 6.23 () 오전 10: 2025.7.1.()-7.31.() 입장권 판매 시작 (30분 단위 회차별 판매)

  - 7.21 () 오전 10: 2025.8.1.()-8.31.() 입장권 판매 시작 (30분 단위 회차별 판매)

현장에서는 당일 입장권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예매시 30분 단위 회차별 한정수량 판매하므로 조기매진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예매 가능기한은 관람일 전일까지입니다.

온라인 예매의 취소, 환불은 티켓 판매처의 취소환불 정책을 따릅니다.

문화가 있는 날: 매월 마지막 수요일(6.25./7.30./8.27.), 각 권종 50% 할인합니다.

관람 일자가 지난 입장권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입장료


구 분

성인

(25~64)

청소년

(13~24)

어린이

(7~12)

6세 이하 미취학 아동 및 65세 이상

개인

8,000

6,000

4,000

무료

단체

6,000

4,500

3,000


출생년도 및 생일 기준

 

 

할인 정보


구분

할인율

6세 이하 미취학 아동 및 65세 이상

20인 이상 단체의 인솔자 1

관련 법령에 따른 각종 유공자/국가보훈대상자 본인 및 그 동반 1, 관련 유족

* 관련 법령: '518민주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고엽제후유의증 등 환자지원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 '참전유공자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특수임무유공자 예우 및 단체설립에 관한 법률', '보훈보상대상자 지원에 관한 법률'

박물관 기증자증 및 박물관회 기부회원증 소지자와 동반 1

ㅇ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장애인과 그 동반 1

의무 복무 중인 군인경찰소방원 등

상이군경(1-3) 본인 및 동반 1

병역법에 따라 선정된 병역명문가로 선정된 사람

문화누리카드 소지자 또는 관련 증빙자료 소지자(본인에 한함)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의한 수급권자 및 차상위계층 해당자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회원(당해연도 회원 갱신자에 한함)

무료 입장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당일 한정)

박물관회 일반회원증, 특별회원증, 후원회원증 소지자

50%

단체(20인 이상) 구매자

다자녀 우대카드 소지자와 가족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 따른 박물관·미술관 학예사 자격증 취득자

예술인패스(한국예술인복지재단 발급) 소지자

30%

국세청 홈택스 세금포인트 할인쿠폰 소지자

10%


쾌적한 관람 환경 조성을 위해 30분 단위 회차별 입장 인원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무료 대상자도 무료 입장권을 예약, 발권해야 합니다.

무료, 할인대상자는 관련 증빙 지참, 매표소 제시 필수(가족관계증명서, 신분증, 국가보훈신분증(국가보훈등록증), 그 외 증빙서류 등)

증빙서류 미지참시 현장에서 차액 지불

 

전시해설


구분

해설

비고

현장참여형

큐레이터와의 대화

매주 수요일 19:00

(상세 일정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 공지 참조)

개별관람형

모바일리플렛

전시실 비치 QR코드 사용

오디오가이드 및 
전시 해설 앱

안내데스크에서 판매(3,000)

어린이용 쉬운해설

오디오가이드

전시실 비치 QR코드 사용


큐레이터와의 대화외의 전시 해설을 운영하지 않으며, 사적 해설도 불가합니다.

 

학술기획

- <연계강연> 특별전의 기획과 구성
   강연자 : 임진아, 명세라, 김영희(미술부 학예연구사) 
   일   시 : 6.20.(금) 14:00-15:30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 

- <온라인 특강> 인물로 보는 조선 전기 미술의 이해 
   국립중앙박물관 공식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순서

송출일시

주제

강연자

1

7. 4.() 14:00

안견과 조선 전기의 회화

장진성(서울대학교 교수)

2

7.11.() 14:00

문정왕후와 조선 전기의 불교회화

박은경(동아대학교 명예교수)

3

7.25.() 14:00

석봉 한호와 조선 전기의 서예

이완우(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4

8.8.() 14:00

조선 전기 한양 도성 사람들과 도자

박정민(명지대학교 교수)

5

8.22.() 14:00

조선의 사대부 초상과 복식

박승원(국립전주박물관 학예연구사)



- <초청 강연> 특별전 연계 국외 학자 초청 강연
    일정 : 
2025. 7. 17.() 14:00~17:40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순서

시간

주제

강연자

1

14:00~15:40

조선 왕조 전기 산수화 재고-몇 가지의 해후를 계기로

朝鮮王朝前期山水画再考ー幾つかの邂逅を契機として

이타쿠라 마사아키(도쿄대학)

2

16:00~17:40

고려와 명, 두 개의 규범 - 조선 전기 불화의 창성

高麗と明、二つの規範ー朝鮮前期仏画の創成

이데 세이노스케(규슈대학)

* 일본어 순차통역으로 진행

* 별도의 예약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