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반차도열람>
전체>장렬왕후부묘도감의궤
* 색인어를 클릭해 보세요
- 감조관(監造官)
- 금등이(金鐙二)
- 금등이(金鐙二)
- 금부도사(禁府都事)
- 금부도사(禁府都事)
- 금부도사(禁府都事)
- 금부도사(禁府都事)
- 금월부(金鉞斧)
- 금월부(金鉞斧)
- 금입과(金立瓜)
- 금입과(金立瓜)
- 금장도(金粧刀)
- 금장도(金粧刀)
- 금횡과(金橫瓜)
- 금횡과(金橫瓜)
- 나장(羅將)
- 나장(羅將)
- 낭청(郎廳)
- 낭청(郎廳)
- 낭청(郎廳)
- 내시(內侍)
- 내시(內侍)
- 내시(內侍)
- 내시(內侍)
- 내시(內侍)
- 당부관(當部官)
- 도제조(都提調)
- 도청(都廳)
- 도청(都廳)
- 도총부당상(都摠府堂上)
- 동반(東班)
- 모절이(旄節二)
- 모절이(旄節二)
- 무인년가례시교명요여(戊寅年嘉禮時敎命腰轝)
- 무인년가례시금보채여(戊寅年嘉禮時金寶彩轝)
- 무인년가례시옥책요여(戊寅年嘉禮時玉冊腰轝)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배안상(排案床)
- 백택기(白澤旗)
- 백택기(白澤旗)
- 별감(別監)
- 별감(別監)
- 별감(別監)
- 별감(別監)
- 별공작관(別工作官)
- 병인년존숭시옥보채여(丙寅年尊崇時玉寶彩轝)
- 병인년존숭시옥책요여(丙寅年尊崇時玉冊腰轝)
- 병조당상(兵曹堂上)
- 병진년존숭시옥보채여(丙辰年尊崇時玉寶彩轝)
- 병진년존숭시옥책요여(丙辰年尊崇時玉冊腰轝)
- 봉선사(鳳扇四)
- 봉선사(鳳扇四)
- 부장(部將)
- 부장(部將)
- 사관(史官)
- 사관(史官)
- 사대기(射隊旗)
- 사대장(射隊將)
- 사령(使令)
- 사령(使令)
- 사령(使令)
- 사령(使令)
- 상서원관일(尙瑞院官一)
- 상서원관일(尙瑞院官一)
- 상서원관일(尙瑞院官一)
- 상서원관일(尙瑞院官一)
- 상서원관일(尙瑞院官一)
- 상서원관일(尙瑞院官一)
- 서리(書吏)
- 서리(書吏)
- 서리(書吏)
- 서리(書吏)
- 서리(書吏)
- 서리(書吏)
- 서리(書吏)
- 서반(西班)
- 섭사복정(攝司僕正)
- 섭사복정(攝司僕正)
- 섭통례(攝通禮)
- 섭통례(攝通禮)
- 승지(承旨)
- 승지(承旨)
- 시보채여(諡寶彩轝)
- 시책요여(諡冊腰轝)
- 신묘년존숭시옥보채여(辛卯年尊崇時玉寶彩轝)
- 신묘년존숭시옥책요여(辛卯年尊崇時玉冊腰轝)
- 신여(神轝)
- 신여(神轝)
- 신축년존숭시옥보채여(辛丑年尊崇時玉寶彩轝)
- 신축년존숭시옥책요여(辛丑年尊崇時玉冊腰轝)
- 은각답(銀脚踏)
- 은관자(銀灌子)
- 은교의(銀交倚)
- 은등이(銀鐙二)
- 은등이(銀鐙二)
- 은우(銀盂)
- 은월부(銀鉞斧)
- 은월부(銀鉞斧)
- 은입과(銀立瓜)
- 은입과(銀立瓜)
- 은장도(銀粧刀)
- 은장도(銀粧刀)
- 은횡과(銀橫瓜)
- 은횡과(銀橫瓜)
- 작선삼(雀扇三)
- 작선삼(雀扇三)
- 장마(仗馬)
- 장마(仗馬)
- 장족아(長足兒)
- 전부고취(前部鼓吹)
- 전사대(前射隊)
- 전악(典樂)
- 제조(提調)
- 주장내시(朱杖內侍)
- 주장내시(朱杖內侍)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집사관이(執事官二)
- 청개(靑蓋)
- 청선(靑扇)
- 촉롱(燭籠)
- 촉롱(燭籠)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충찬위(忠贊衛)
- 한성부당상(漢城府堂上)
- 향정자(香亭子)
- 향좌아(香佐兒)
- 홍개(紅蓋)
- 홍양산(紅陽繖)
- 후사대(後射隊)

1690년(숙종 16) 10월 10일 거행된 인조(仁祖) 계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1688)의 부묘 과정을 기록한 『장렬왕후부묘도감의궤(莊烈王后祔廟都監儀軌)』에 수록된 반차도이다. 1688년(숙종 14) 8월 26일 창경궁 내반원에서 승하한 장렬왕후는 12월 15일 발인하여 16일 건원릉 경내에 안장되었고, 왕후의 우주는 같은 날 창경궁 문정전에 마련된 혼전에 모셔졌다. 혼전의 영좌에 봉안되어 있던 우주는 첫째 기일에 연제를 지내면서 밤나무로 만든 연주에 그간에 받은 존호와 휘호, 시호를 합쳐 ‘자의공신휘헌강인정숙온혜장렬왕후(慈懿恭愼徽獻康仁貞肅溫惠莊烈王后)’라고 쓴 정식 신주가 되었다. 3년 상기가 끝나고 1690년 10월 10일 종묘 동향대제(冬享大祭)에 맞추어 신주를 부묘하였다.
이 반차도는 문정전에 모셔져 있던 장렬왕후의 신주를 종묘로 봉안해 가는 행렬의 반차를 그린 것이다. 행렬은 소가(小駕)로 도가하고 전사대(前射隊)가 선두에서 시위하는 가운데 왕후의 의장, 책·보 가마, 전부고취, 신련이 나아가며, 부묘도감 관원들이 수가하고 후사대가 서는 순서로 편성되었다. 실제 행렬에서는 숙종(肅宗)이 부묘도감 관원 행렬 다음에 서서 수가하였으나 왕의 행렬은 반차도로 그려지지 않았다. 전·후 사대 군병은 훈련도감 군병 400명이 반씩 나뉘어 앞뒤에서 시위하였다. 책·보를 모신 가마는 1686년의 존숭을 필두로 네 번의 존숭 시 받은 책과 보, 왕비 책봉 시 받은 옥책과 금보, 시책과 시보를 모신 가마 순으로 편성되었다. 책과 보를 모신 요여와 채여가 10부로 늘어남에 따라 다른 왕후들의 부묘 반차도에 비해 행렬이 길어졌다. 관원들은 4품 이상은 붉은색 조복에 금관을 쓰고 5품 이하는 흑단령을 입고 참여했으므로 반차도에서 복색이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품계에 따라 구종과 대예를 한두 명씩 거느린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의궤 반차도는 상들을 직접 그려서 완성하였다. 행렬은 인각을 활용한 분상용 의궤 반차도의 구성과 동일하고 인물이나 말의 조형도 비슷하다. 하지만 측면 혹은 후면으로 묘사한 기마 관원 및 군관 또는 내시의 상에서 말마다 각기 다른 색으로 채색을 하여 세부 묘사에서 신경을 좀 더 쓴 것이 확인된다. 전부고취대의 악공들이 손에 든 악기도 분상용 의궤 반차도에서는 묘사되지 않은 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송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