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 다른명칭

    국보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1962), 光陽 中興山城 雙獅子 石燈,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中興山城雙獅子石燈

  • 국적/시대

    한국 - 통일신라

  • 출토지

    전라남도 - 광양시

  • 재질

    돌 - 화강암

  • 분류

    종교신앙 - 불교 - 공양 - 석등

  • 크기

    전체높이 250cm

  • 지정문화유산

    국보

  • 소장품번호

    본관12804

석등(石燈)은 돌로 만든 조명 시설로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을 점화시키는 부분인 화사석(火舍石)과 그것을 덮어주는 지붕, 그리고 지붕과 화사석을 지탱시켜 주는 대좌부(臺座部)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절이나 능묘와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석등은 빛을 밝혀 진리를 찾는다는 불교적 성격과 죽은 자의 명복을 구한다는 유교적 성격에 의해 조성되어 왔다. 불교적 성격의 석등은 건축의 한 부속으로서 옥외의 일정한 곳에 설치되어 종교 의식의 용구로 사용되어 왔다. 1918년 서울의 국립 중앙 박물관으로 옮겨진 중흥산성쌍사자석등은 원래 전라남도 광양시의 중흥산성 성 안의 절터에 있던 것으로 삼층석탑과 함께 조성되었다. 이 석등의 주요 특징은 대좌부를 이루는 간주석(竿柱石) 부분이 원형이나 팔각형이 아니라 쌍사자로 대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즉 두 마리의 사자가 지붕과 화사석을 받들고 있는 형태로 조성된, 이 석등은 속리산의 법주사 쌍사자 석등 및 경상남도 합천의 영암사지 석등과 함께 대표적인 이형(異型)석등으로 꼽힌다. 간주석을 사자상으로 변형시킨 것은 사자가 용맹한 동물이므로 불타의 진리 전파를 수호한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현존하는 쌍사자석등 중 가장 완벽한 형태를 이루고 있고 사실적인 조각 수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밖의 형태는 기본형인 팔각 석등을 따르고 있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