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자하 신위가 쓴 글씨
  • 다른명칭

    紫霞 申緯 筆 詩句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섬유 - 견

  • 작가

    신위(申緯, 1769-1847)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글씨 - 일반서예

  • 크기

    세로 67.9cm, 가로 148.2cm

  • 소장품번호

    덕수5318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7)가 행서(行書)로 쓴? 시 '여뀌 꽃[蓼花]'으로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 에 수록된 園中秋花十四詠 중 한 수이다.(紅蓼漁磯橫斷遠山靑。叢水?花入小?。冷伴曉風殘月柳。淡藏飛鷺浴鳧汀。主人未罷江湖夢。舫閣如聞魚蟹腥。丁字簾前?雨歇。數枝紅簇可中庭。) 얇은 붉은 비단 바탕면에 썼으며 바탕면의 먹이 많이 사라져 글씨가 잔잔하게 보인다. 글씨의 필획은 살이 많은 편이며 풍성한 인상을 준다. 신위는 조선 후기의 시서화 삼절(詩書? 三?)로, 특히 시와 서예로 이름이 높았다. 신위는 김정희와 같은 시대를 살았지만, 글씨는 김정희와는 달리 중국 명대(明代) 서풍(書風)의 영향 및 고전적, 보수적 서풍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자하 신위가 쓴 글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