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중요
원교 이광사 서첩 <원교법첩>
  • 다른명칭

    보물 이광사 필적 원교법첩(2010), 李匡師 筆蹟 員嶠法帖, 員嶠李匡師書帖<員嶠法帖>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섬유 - 견

  • 작가

    이광사(李匡師, 1705-1777)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글씨 - 일반서예

  • 크기

    세로 35.2cm, 가로 23.3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덕수2479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전서(篆書)로 쓴 당(唐)의 시인 두보(杜甫, 712-770)의 '동정호를 지나며(過洞庭湖)'이다. 이광사는 조선 후기의 서예가로, 호는 원교(員嶠)이다. 이광사는 석봉체를 쓴 한호(韓濩, 1543-1605) 이후 조선적인 글씨를 이루기 위해 노력한 뛰어난 서예가였다. 서첩에 실린 여러 작품 중에서도 특히 이 글씨는 이광사의 전서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글씨에서는 떨리는 필획이 눈에 띄는데, 이는 중국의 전서 비석 <형산비(衡山碑)>의 글씨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광사는 이러한 떨리는 필획을 감각적으로 표현하여 그림을 보듯 변화를 유도하였다. 두보(杜甫)의 시를 썼기 때문에 운치가 풍부할 뿐 아니라 전서 글씨의 시각적 재미까지 누리게 해준다는 점은 이 작품의 장점이다.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원교 이광사 서첩 <원교법첩>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